금요일, 4월 11, 2025
spot_img
Home금융트럼프의 새로운 상호 관세 정책으로 인해 내려앉는 미국 증시

트럼프의 새로운 상호 관세 정책으로 인해 내려앉는 미국 증시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는 극적인 글로벌 시장 붕괴를 촉발하여 미국 지수와 한국 기업에 큰 영향을 미쳤고, 비상 조치와 국제 무역 긴장을 촉발시켰습니다.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모두 폭락했습니다. 주요 기술 회사들 중심인 나스닥이 6% 떨어졌고 주요 500개 대기업을 모은 S&P500이 4.8% 하락했습니다.
30개 주요 회사만 모아서 가장 변동이 적은 다우 지수까지 4% 추락하였습니다. 뉴욕 증시 전체 시가 총액에서 4천 조원이 하루 만에 증발하였습니다.

생산의 90%가 중국이 차지하는 애플은 9.2% 떨어졌고 나이키, 갭 등 낮은 생산가를 향해 중국 베트남 등을 향했던 회사들의 주식이 많이 내려앉았습니다.

한국에 대한 초기 26% 관세는 나중에 25%로 수정되어 특히 자동차 및 전자 부문에서 한국 기업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은 자국의 자동차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긴급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결합 관세를 16%로 낮추기 위해 미국과 협상 중입니다.

트럼프 관세정책이 미국장 마감 후 발표로 2025년 4월 3일 발표되었으며, 발효 시점은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1. 기본 관세 10% : 모든 국가에 기본 적용되는 관세율이며 2025년 4월 5일 0시부터 발효됩니다.
  2. 상호 관세 : 국가별 무역 적자 규모나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한 개별 상호 관세율이며 2025년 4월 9일 0시부터 적용됩니다.

상호 관세는 미국에 대규모 무역적자를 유발하는 최악 국가에 관세를 매기겠다는 건데 이 최악국가에 대한민국도 포함되어 25%의 상호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다행이 기본 관세에 상호 관세가 합산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상호 관세 부과 국가외 국가에만 기본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최악국가 목록
한국,중국,일본,유럽연합 관세율

일본은 우리보다 낮은 24%고 중국은 34%, 유럽연합 20%, 베트남은 46%가 적용됐습니다.
한국은 FTA로 관세가 거의 없지만 비관세 장벽 등을 문제 삼아 관세율을 적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2.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우리나라의 경제적 영향

1. 수출 감소

  • 수출 감소: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약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수출이 감소하고, 관련 산업의 매출도 줄어들것으로 예상됩니다.
  • 자동차 산업 타격: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가 줄어들면서 큰 타격을 받을 것입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 내 판매량이 감소하여, 전체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입니다.

자동차 산업 타격: 한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가 줄어들면서 큰 타격을 받을 것입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 내 판매량이 감소하여, 전체 매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것입니다.

2. 산업 구조 변화

  • 산업 재편성: 관세 부과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다른 시장으로의 다각화를 시도해야 될것입니다. 이는 아시아 및 유럽 시장으로의 진출을 촉진하게 될 것입니다.
  • 비용 증가: 관세로 인해 수입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면서, 제조 비용이 증가할 것입니다.. 이는 최종 소비자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한국 내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무역 관계 변화

  • 무역 불균형 심화: 한국과 미국 간의 무역 불균형이 심화되었습니다. 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이 줄어들면서, 무역 적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FTA 재협상 필요성: 이러한 상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재협상을 촉발할 수 있으며,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재조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25% 관세 부과는 한국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수출 감소, 산업 구조 변화, 무역 관계의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새로운 전략을 모색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의 무역 관계와 경제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 ARTICLES

Most Popular

- Advertisment -spot_img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