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을 이용해 아이 경제 감각 키우는 방법은 자녀가 돈의 가치를 몸으로 배우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교육 방식입니다. 단순히 금액을 주는 것을 넘어, 용돈을 어떻게 사용하고 계획하며 저축할지를 직접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1. 용돈 관리의 기본 원칙
용돈 관리의 기본 원칙은 일정한 규칙과 자율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부모가 일방적으로 관리하거나 방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계획하고 책임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합니다.
초등학교 3학년 민준이는 매주 3,000원의 용돈을 받습니다. 처음에는 받은 돈을 그날 바로 간식이나 문구류에 써버렸지만, 한 달 후 “저금통이 비어 있네?”라는 말을 하며 스스로 아쉬움을 표현했습니다. 그때 부모는 “이번 주부터는 3,000원 중 1,000원은 저금통에 넣어볼까?”라고 제안했습니다. 민준이는 매주 저축을 시작했고, 석 달 뒤에는 12,000원을 모아 원하던 미니 블록 장난감을 스스로 샀습니다. 이 경험은 ‘기다림의 가치’와 ‘목표를 위한 저축 습관’을 동시에 배우게 해주었습니다.
이 경험은 ‘기다림의 가치’와 ‘목표를 위한 저축 습관’을 동시에 배우게 해주었습니다.

중학교 1학년 지윤이는 매달 10,000원의 용돈을 받습니다. 처음에는 친구들과 함께 카페를 자주 가며 대부분의 돈을 사용했지만, 한 달은 용돈을 절반만 쓰고 남은 금액을 따로 모아 두었습니다. 다음 달, 학교에서 소풍이 있을 때 스스로 모아둔 돈으로 도시락 재료를 사고 간식도 챙겼죠. 부모가 간섭하지 않아도 스스로 계획적으로 소비하는 모습을 보인 것입니다.
이처럼 용돈은 단순히 ‘주는 돈’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경제적 선택을 연습하는 교육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부모는 정해진 주기와 금액을 기준으로 용돈을 지급하되, 그 사용에 대해 지나친 간섭보다는 대화를 통해 방향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용돈을 통한 경제 교육 실천법
용돈을 통한 경제 교육 실천법은 생활 속 다양한 상황을 통해 돈의 흐름과 가치를 체감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첫째, 용돈 기입장 쓰기를 생활화하세요.
초등학교 5학년 예린이는 매주 받은 용돈을 수첩에 직접 기록했습니다. ‘입금: 2,000원 / 지출: 1,500원(간식)’처럼 단순한 기록이었지만, 두 달이 지나자 “생각보다 군것질에 돈을 많이 썼네?”라는 말을 스스로 하게 되었습니다. 이때 부모는 “그럼 이번 달엔 군것질 예산을 정해보자”라고 제안하며, 예산 관리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가르쳤습니다.
둘째, 실제 예산 프로젝트를 맡겨보는 것도 좋습니다.
가족 영화 관람일에 “이번엔 네가 예산 2만 원으로 간식과 음료를 준비해볼래?”라고 맡기는 식입니다. 초등 고학년 아들은 가격을 비교하며 초코바 대신 팝콘 세트를 고르고, 잔돈은 다시 저금통에 넣었습니다. 아이는 “남는 돈이 생기니까 기분이 좋아요!”라고 말하며 절약의 성취감을 느꼈습니다.
셋째, 기부와 나눔의 경험도 포함하세요.
초등학교 6학년 수아는 용돈 중 매달 1,000원을 따로 모아 연말에 동물보호소에 기부했습니다. 단돈 천 원이었지만, 그 과정에서 수아는 “내 돈으로 다른 생명을 도울 수 있구나”라는 경제적 자존감을 얻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경제 교육을 넘어 인성 교육으로 확장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넷째, 소비 리뷰 습관을 길러주세요.
“이번 달에 산 물건 중 제일 잘 산 건 뭐였어?”라는 질문은 아이로 하여금 자신의 소비를 객관적으로 돌아보게 합니다. 초등학생 아이들은 “그때는 필요했는데 지금은 안 쓰네요.”, “그건 진짜 잘 샀어요.”처럼 스스로 판단을 내리며 소비의 효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이러한 습관은 훗날 합리적 소비자로 성장하는 밑거름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경제 감각은 단기간에 길러지지 않습니다. 부모의 지속적인 대화와 피드백, 그리고 실생활 중심의 경험이 반복되어야 비로소 아이의 경제 개념이 뿌리내립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가 실수를 하더라도 그것을 배우는 기회로 바라보며, 돈의 흐름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